본문 바로가기

이용자 인권보장

c7559c788901da8352f860aa21a2aa8d_1623993951_04.jpg


[에이블뉴스] 쓸쓸한 무연고 사망, 장애인에게 더 가혹했다

페이지 정보

최고관리자 작성일22-11-03 09:06 조회412회 댓글0건

본문

3년간 전체 사망자 17% 차지지체장애 35.7%

의료 취약계층 대부분, 최혜영 의원대책 마련

 

쓸쓸히 죽음을 맞이하는 무연고 사망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장애인과 저소득층의 무연고 사망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혜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장애인 무연고 사망자는 1371명으로 전체 무연고 사망자 8078명의 1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전체 무연고 사망자 중 장애인 비율은 꾸준히 증가(202015.2% 202117.5% 202218.3%)했는데, 전년 대비 40%(16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비장애인의 무연고 사망자가 18.6% 증가한 것에 비해 두 배 이상 큰 수치다.

장애유형별로 살펴보면, 지체장애(490, 35.7%)가 가장 많았고 뇌병변장애(14.7%), 청각장애(12.5%), 시각장애(10%), 정신장애(8.2%)가 뒤를 이었다.

장애인 무연고 사망자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0 장애인 비율이 30%로 가장 높았고, 70(26%)50(18.3%) 80(16%)가 뒤를 이었다.

각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특히 60대 이상의 무연고 장애노인 사망자의 비율이 해마다 높아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202071.7% 202174.2% 202280.8%) 올해의 경우 10명 중 8명이 6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무연고 사망자 발생 현황을 시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대비 2021년에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경남으로 155%(202011`2128)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제주(133%증가), 강원(78%증가) 순이었다.

반면 경북(42%감소), 울산(33%감소), 전남(30%감소) 지역은 같은 기간 동안 장애인 무연고 사망자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쓸쓸하게 죽음을 맞이했던 무연고 사망자들의 경제적 상황은 어땠을까?

무연고 사망자의 최종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자격을 확인해본 결과, 전체 무연고 사망자 중 의료급여 수급자 비율은 202069.9%에서 2022774.4%로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보험에 가입했다고 하더라도 납부 보험료가 월 3만원 미만인 취약계층이 약 80%를 차지했고 그중에서도 15%1만 원 미만의 저소득 취약계층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최혜영 의원은 장애와 경제적인 여건으로 차별과 고립을 겪으며 살아야만 했던 사람들이 죽음의 상황에서도 예외가 될 수 없다는 사실은 같은 인간으로서도 너무나 가슴이 아프다면서 지독하게 가난해서 시신을 수거할 돈조차 없어 가족의 장례를 무연고 장례로 처리했다는 어떤 가족의 슬픈 고백처럼무연고 사망은 고인 한 사람만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무연고 사망이 특히 장애인과 저소득층에게 많이 일어나는 원인을 파악하고 홀로 죽음을 맞이하는 취약계층이 더는 발생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http://abnews.kr/1XiP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333건 10 페이지
이용자 인권보장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8 [에이블뉴스] 장애인 학대 거주시설, 혈세 1000억원 ‘꿀꺽’ 최고관리자 11-17 356
197 [에이블뉴스] 정신장애인 10만명, 갈 곳은 정신병원 뿐 최고관리자 11-10 369
열람중 [에이블뉴스] 쓸쓸한 무연고 사망, 장애인에게 더 가혹했다 최고관리자 11-03 413
195 [에이블뉴스] 아직도 갈길 먼 '발달장애인 지원 정책' 최고관리자 10-27 506
194 [에이블뉴스] 공급자 중심 ‘통합돌봄’, 장애인 ‘사각지대’ 최고관리자 10-20 394
193 [에이블뉴스] 발달장애인 33% “혼자 남겨질까 두려워” 최고관리자 10-13 378
192 [에이블뉴스] 장애학생 신변처리 지원 열악, 개선 첫걸음 최고관리자 10-06 504
191 [에이블뉴스] 마스크 착용 힘든 장애인 병원 출입제한 ‘차별’ 최고관리자 09-29 402
190 [에이블뉴스] 폭우 참사 발달장애인 빈곤층 “살려달라” 최고관리자 09-22 372
189 [에이블뉴스] 장애인 등 여객선·버스정류장 편의시설 미흡 최고관리자 09-15 397
188 [에이블뉴스] 본인 의사 반한 정신병원 행정입원 ‘인권침해’ 최고관리자 09-08 387
187 [에이블뉴스] 우영우 신드롬, 발달장애 가정 현실은 ‘척박’ 최고관리자 09-01 430
186 [에이블뉴스] 특수교육대상자 10명 중 4명 진학ㆍ취업 못해 최고관리자 08-25 419
185 [에이블뉴스] 정신장애인 100명 중 74명 탈원화 '희망' 최고관리자 08-18 417
184 [에이블뉴스] 시각장애인들 “키오스크 분통” 국회도 왔다 최고관리자 08-11 433

dd





(49220) 부산광역시 서구 보수대로154번길 36 서구장애인복지관
전화 : 051-242-3930 | 팩스 : 070-8915-3972 | 대표메일: seogu4949@hanmail.net

Copyright © 2021 서구장애인복지관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