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용자 인권보장

c7559c788901da8352f860aa21a2aa8d_1623993951_04.jpg


[에이블뉴스] 정신장애인 10만명, 갈 곳은 정신병원 뿐

페이지 정보

최고관리자 작성일22-11-10 09:11 조회368회 댓글0건

본문

지원체계 83%가 병원, 정신재활시설·위기쉼터 태부족

최혜영 의원 불필요한 장기입원 현실, 법적 근거 마련

 

등록 정신장애인이 매년 증가해 10만 명이 넘고, 정신장애 유병률은 28%에 달하는데정신장애인을 위한 지원체계는 여전히 병원 중심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혜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보건복지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정신장애인은 매년 증가해 작년 기준 104000, 정신질환 평생 유병률은 28%에 달했다고 5일 밝혔다.

한편, 정신건강증진시설(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 정신재활시설) 중 정신의료기관은 3년 사이 22%가 늘어 2000개소가 넘는 반면, 정신재활시설은 되려 감소해 346개소에 그쳤다.

정신병원 등 의료기관이 지원 인프라의 83%를 차지하고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신재활시설은 18%에 불과한 것이다.

또한, 105개 지자체에는 정신재활시설이 없어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 25000여명은 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상황이다. 가장 심각한 전라남도는 22개 시군 중 20곳에 정신재활시설이 없었다.

정신장애인을 위한 위기지원쉼터 설치 현황은 더욱 심각했다. 운영 중인 위기쉼터는 9개소에 불과한데, 이마저도 모두 수도권에 소재해 있다.

위기지원쉼터는 정신장애인이 수시로 방문해 회복하는 곳으로 정신장애인의 불필요한 입원을 줄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지만, 법에 지원 근거가 없어 지역사회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최혜영 의원은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회복할 수 있는 인프라가 크게 부족해 정신장애인이 불필요한 입원을 선택하고, 또 장기입원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아갈 수 있어야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당사자와 이웃의 존엄한 삶을 지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의 경우, 23시간 위기안정 관측, 24시간 위기 핫라인, 동료지원 위기쉼터, 정신과적 사전의료의향서 등 다양한 서비스를 갖추고 있고, 영국도 당사자 거주지 인근 위기 개입 서비스를 도입해 입원을 최소화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최 의원은 또한 정선건강 서비스의 지역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정신재활시설과 위기지원쉼터를 지원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등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법안 발의를 예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http://abnews.kr/1XjO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333건 10 페이지
이용자 인권보장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8 [에이블뉴스] 장애인 학대 거주시설, 혈세 1000억원 ‘꿀꺽’ 최고관리자 11-17 356
열람중 [에이블뉴스] 정신장애인 10만명, 갈 곳은 정신병원 뿐 최고관리자 11-10 369
196 [에이블뉴스] 쓸쓸한 무연고 사망, 장애인에게 더 가혹했다 최고관리자 11-03 412
195 [에이블뉴스] 아직도 갈길 먼 '발달장애인 지원 정책' 최고관리자 10-27 505
194 [에이블뉴스] 공급자 중심 ‘통합돌봄’, 장애인 ‘사각지대’ 최고관리자 10-20 394
193 [에이블뉴스] 발달장애인 33% “혼자 남겨질까 두려워” 최고관리자 10-13 378
192 [에이블뉴스] 장애학생 신변처리 지원 열악, 개선 첫걸음 최고관리자 10-06 504
191 [에이블뉴스] 마스크 착용 힘든 장애인 병원 출입제한 ‘차별’ 최고관리자 09-29 401
190 [에이블뉴스] 폭우 참사 발달장애인 빈곤층 “살려달라” 최고관리자 09-22 372
189 [에이블뉴스] 장애인 등 여객선·버스정류장 편의시설 미흡 최고관리자 09-15 397
188 [에이블뉴스] 본인 의사 반한 정신병원 행정입원 ‘인권침해’ 최고관리자 09-08 386
187 [에이블뉴스] 우영우 신드롬, 발달장애 가정 현실은 ‘척박’ 최고관리자 09-01 430
186 [에이블뉴스] 특수교육대상자 10명 중 4명 진학ㆍ취업 못해 최고관리자 08-25 419
185 [에이블뉴스] 정신장애인 100명 중 74명 탈원화 '희망' 최고관리자 08-18 417
184 [에이블뉴스] 시각장애인들 “키오스크 분통” 국회도 왔다 최고관리자 08-11 432

dd





(49220) 부산광역시 서구 보수대로154번길 36 서구장애인복지관
전화 : 051-242-3930 | 팩스 : 070-8915-3972 | 대표메일: seogu4949@hanmail.net

Copyright © 2021 서구장애인복지관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