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용자 인권보장

c7559c788901da8352f860aa21a2aa8d_1623993951_04.jpg


[에이블뉴스] 장애인 학대 거주시설, 혈세 1000억원 ‘꿀꺽’

페이지 정보

최고관리자 작성일22-11-17 10:02 조회355회 댓글0건

본문

환수율 0.04% 불과재학대 발생해도 보조금

최혜영 의원, “학대 발생 시설 보조금 적극 환수

 

장애인 학대로 행정처분 등을 받은 거주시설에 1002억 원의 국가보조금이 지급됐지만 이중 1%도 환수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혜영 의원(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8년부터 20228월말까지 최근 5년간 장애인 거주시설에서 발생한 장애인 학대 사건은 총 220건으로, 이중 일부는 동일한 시설에서 다수 장애인을 대상으로 자행되거나 재학대가 일어났다고 17일 밝혔다.

장애인 시설 학대 발생과 관련해 보건복지부 및 지자체는 설립허가 취소, 시설폐쇄 등의 행정처분을 내리는 한편 사회복지사업법등에 따라 보조금을 환수해야 한다.

그러나 문제 시설 69개소는 시설장 교체 및 시설폐쇄 등 행정처분조차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행정처분을 받은 곳도 개선명령 93, 시설장 교체 12, 시설폐쇄 12곳 등에 그쳐 처분 수위가 낮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한편 이들 학대 발생 거주시설에는 5년 간 총 10023265만 원이 보조금으로 지원됐고, 6곳 시설로부터 4367만 원이 환수됐으나 이는 전체의 0.04% 수준에 불과하다.

또한 이들 시설 중 10곳은 재학대가 발생했음에도 버젓이 보조금이 또 지급됐다. 주무기관인 보건복지부는 시설폐쇄 이상 처분을 받은 시설에 대해서는 보조금을 환수해야 한다는 방침에도 불구하고 12곳 중 1곳에서 1036만 원을 환수받는데 그쳐 국가기관이 최소한의 책임조차 이행하지 않는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학대 발생 기관 중 보조금 최다 지급 상위 5개 기관을 살펴보면 심각한 장애인인권침해로 원론에 보도되어 국민의 공분을 산 장애인거주시설이 다수 포함됐다.

장애인을 대상으로 물고문을 자행하거나, 가슴을 가격해 점상출혈(외상에 의한 출혈)을 일으키게 한 경북의 A 기관이 132억 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또 거주인의 주요 부위를 때리고 배에 올라타 양팔을 붙잡고 제압하거나 이사장이 운영하는 편의점을 청소할 것을 강요한 경기도의 B 기관이 2위로 꼽혔다.

이외에도 거주인을 폭행하거나, 거주인끼리 서로 때리도록 한 다음 그것을 촬영해 시설 종사자 간 공유한 경기도의 C 기관 장애인을 장시간 창고에 가둔 대구의 D 기관 생활교사에 의해 장애인이 눈에 멍이 들 정도로 폭행당하거나 다른 이용자 역시 얼굴, , 허벅지, 가슴 등에 상흔이 발견된 인천의 E 기관이 차례로 이름을 올렸다.

최 의원은 장애인 학대가 근절되지 않는 가운데 국가의 방조로 시설 거주 장애인들이 피해 구제를 받지 못한 채 시설에만 혈세가 흘러들고 있다, “학대 발생 시설 보조금 환수 세부기준 마련과 함께 적극적인 집행으로 학대범죄 근절에 대한 정부 의지를 보이는 한편 환수된 금액은 장애인의 자립 지원에 쓰일 수 있도록 방침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http://abnews.kr/1XpY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333건 10 페이지
이용자 인권보장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열람중 [에이블뉴스] 장애인 학대 거주시설, 혈세 1000억원 ‘꿀꺽’ 최고관리자 11-17 356
197 [에이블뉴스] 정신장애인 10만명, 갈 곳은 정신병원 뿐 최고관리자 11-10 368
196 [에이블뉴스] 쓸쓸한 무연고 사망, 장애인에게 더 가혹했다 최고관리자 11-03 412
195 [에이블뉴스] 아직도 갈길 먼 '발달장애인 지원 정책' 최고관리자 10-27 505
194 [에이블뉴스] 공급자 중심 ‘통합돌봄’, 장애인 ‘사각지대’ 최고관리자 10-20 393
193 [에이블뉴스] 발달장애인 33% “혼자 남겨질까 두려워” 최고관리자 10-13 377
192 [에이블뉴스] 장애학생 신변처리 지원 열악, 개선 첫걸음 최고관리자 10-06 504
191 [에이블뉴스] 마스크 착용 힘든 장애인 병원 출입제한 ‘차별’ 최고관리자 09-29 401
190 [에이블뉴스] 폭우 참사 발달장애인 빈곤층 “살려달라” 최고관리자 09-22 371
189 [에이블뉴스] 장애인 등 여객선·버스정류장 편의시설 미흡 최고관리자 09-15 397
188 [에이블뉴스] 본인 의사 반한 정신병원 행정입원 ‘인권침해’ 최고관리자 09-08 386
187 [에이블뉴스] 우영우 신드롬, 발달장애 가정 현실은 ‘척박’ 최고관리자 09-01 430
186 [에이블뉴스] 특수교육대상자 10명 중 4명 진학ㆍ취업 못해 최고관리자 08-25 418
185 [에이블뉴스] 정신장애인 100명 중 74명 탈원화 '희망' 최고관리자 08-18 417
184 [에이블뉴스] 시각장애인들 “키오스크 분통” 국회도 왔다 최고관리자 08-11 432

dd





(49220) 부산광역시 서구 보수대로154번길 36 서구장애인복지관
전화 : 051-242-3930 | 팩스 : 070-8915-3972 | 대표메일: seogu4949@hanmail.net

Copyright © 2021 서구장애인복지관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