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용자 인권보장

c7559c788901da8352f860aa21a2aa8d_1623993951_04.jpg


[KBS뉴스]장애인콜택시 직접 불러보니…기다림

페이지 정보

최고관리자 작성일21-09-17 14:11 조회671회 댓글0건

본문

버스나 지하철로 약속 장소에 가고, 자가용으로 출퇴근하고누군가에게는 당연한 행동이지만, 몸이 불편한 이들에게는 그렇지 않습니다. 장애인들은 이런 움직일 수 있는 권리를 '이동권'이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2001, 오이도역에서 장애인 노부부가 휠체어 리프트를 타다 숨진 사건이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운동의 계기가 됐습니다. 장애인들은 안전하고 편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해 달라며 전국 곳곳에서 20년 동안 싸워 왔습니다.

 

목소리가 모이자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2005, 교통약자법이 제정되면서 장애인들의 발이 되어 줄 '장애인 콜택시'가 탄생했습니다. 휠체어도 태울 수 있는 장애인 전용 택시를 만들고, 정부가 요금 상당 부분을 지원하기로 한 겁니다. 돈과 시간이 많이 드는 대중교통 환경 개선보다 훨씬 빠르게 장애인 이동권을 보장하는 수단이었습니다.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충분히 보장하자는 법 취지대로였습니다.

 

전국 자치단체를 포함해 광주광역시에서도 2008년 장애인 콜택시 '새빛콜' 운행이 시작됐습니다. 운행 13년이 지난 지금, 새빛콜은 한 달 운행 횟수가 3만 차례가 넘는 장애인들의 ''로 자리잡았습니다. 하지만 이용자들에게 장애인 콜택시가 정말로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 수단일까요?

 

조금이라도 나아질 방법은 없을까요? 예산 문제로 차량 수를 당장 늘리기가 어려운 만큼, 법인택시와 대량으로 계약하는 '바우처 택시' 제도가 대안 가운데 하나로 꼽힙니다. 대전과 전남 등에서는 이미 시행 중인데, 서비스 질 담보 등이 과제로 꼽힙니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운전사와 배차 상담원 등의 처우 개선을 통해 서비스 향상을 꾀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센터 노동자들이 과도한 근무 시간과 열악한 노동 환경에 시달리면 그 피해는 결국 이용자들에게 전가된다는 겁니다.

방법이 어떻든, 어렵게 얻어낸 결실인 만큼 장애인 콜택시 서비스 개선이 절실하다는 점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겁니다. 장애인 이동권이 완전하게 보장되는 날은 언제쯤 올까요. 당연한 것이 당연해지는 그 날이 하루빨리 다가오기를 바라봅니다.


사이트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267609&ref=A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333건 14 페이지
이용자 인권보장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8 [KBS뉴스]불법 복지시설 입소 노인·장애인 어디로?…행방 묘연 최고관리자 09-23 670
열람중 [KBS뉴스]장애인콜택시 직접 불러보니…기다림 최고관리자 09-17 672
136 [에이블뉴스]국가·지자체 장애인문화예술활동 지원 ‘실효성’ 강화 최고관리자 09-09 625
135 [문화뉴스] ‘장애인 인권’을 주제로 공모전 참여자 모집 최고관리자 09-02 632
134 [아시아경제]장기화되는 코로나 방역조치…방역이 먼저냐, 인권이 먼저냐 최고관리자 08-26 630
133 [경향신문]“최신 휴대폰 싸게” 친절했던 그들이 남긴 건 ‘요금 폭탄’ 최고관리자 08-19 619
132 [비마이너]한국전력공사 등 공공기관, 장애인 고용부담금 40억 이상 납부 최고관리자 08-12 636
131 [조선일보]‘유명무실 장애인 건강주치의 사업’ 최고관리자 08-05 665
130 [에이블뉴스]장애인차별 시정명령 적극성 띤다 최고관리자 08-05 661
129 [프레시안]코로나 이후, 장애인 고립을 막을 방법은? 최고관리자 07-22 642
128 [한경]장애인 이동권 보장하려면... 최고관리자 07-15 647
127 [한국장애인개발원]부산 발달장애인 부모교육지원 사업 6월 시작 최고관리자 07-09 786
126 [한국장애인개발원]‘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과 함께 만들어가는 ESG 스마트공항 제휴 협약’ 최고관리자 07-01 751
125 [부산일보]제 10회 세계장애인대회 부산 유치 추진 최고관리자 06-24 714
124 [한국장애인개발원]스티커에서 시작된 거대한 변화‘인식과 규정을 바꾸다’ 최고관리자 06-17 786

dd





(49220) 부산광역시 서구 보수대로154번길 36 서구장애인복지관
전화 : 051-242-3930 | 팩스 : 070-8915-3972 | 대표메일: seogu4949@hanmail.net

Copyright © 2021 서구장애인복지관 All rights reserved.